펫로스 증후군 극복 방법
펫로스 증후군 극복 방법
반려동물과 삶을 마무리하면 온가족이 펫로스 증후군을 겪게 된다.
이러한 감정은 가족의 제일 어른이든, 막내이든 느끼게 된다.
자연스러운 감정이기 때문에 충분히 슬픔의 시간을 가지고 서로에게 집중하는 것이 중요하며
특히, 다른 동물이 남아 있는 경우와 집안에 어린이가 있는 경우 각별히 신경을 써주어야 한다.
펫로스 증후군이란?
펫로스 증후군이란 사랑하는 가족이었던 반려동물이 내 곁을 영영 떠나가게 되면서 느끼게 되는 자연스러운 우울감, 상실감이다.
감정적, 행동적으로 나도 모르게 반응을 하게 되는데, 주요 증상은 아래와 같다.
감정적 반응: 현실부정(혹은 회피), 눈물, 정신 혼미, 불면증, 식음전폐, 분노, 죄책감
고립감, 우울감, 숨을 거두던 몇 시간동안을 계속 곱씹어보기, 그 전에는 느껴보지 못 했던 미칠 것 같은 감정을 느낌
행동적 반응: 반려동물의 장난감이나 담요를 옆에 놓고 취침, 침대에서 함께 잤던 경우 다른 공간에서 취침
생전에 쓰던 물건을 버리지 못 함, 반려동물이 살아있었을 때와 같은 하루일과 (산책, 밥 주기) 보내기 등
이 외에, 나도 반려동물의 뒤를 따라가고 싶다는 생각이 지속적으로 든다면 우울증의 증세로 전문가와의 상담이 즉시 필요하다.
여러 감정적, 행동적 반응 중에서 가장 흔하고 극복이 어려운 감정으로는 ‘죄책감’이다.
이 감정에 휩싸이게 되면, 반려동물과 함께 보냈던 행복한 순간, 나의 희생 등은 까마득하게 잊어버리고 자아비판에 빠지게 된다.
오직 생각나는 것은 ‘우리 가족이 제주도 여행을 갔는데 반려동물은 못 데려 갔던 것,
내가 병원을 잘못 데려가서 반려동물의 상태가 악화된 것 혹은 금전적인 문제로 병원에 가지 못 하여 병이 심화된 순간’ 등이다.
특히, 죄책감은 ‘안락사’를 한 경우 가장 심하게 나타난다.
의학적으로 고칠 방법이 없어 당시의 최선의 방법이라고 판단을 했다고 하더라도 안락사라는 행위를 통해 죽음에 이르던 그 순간을 곱씹으면서 죄책감에 휩싸인다
또한, ‘그 때 안락사를 안 했더라면’, ‘다른 치료법을 시도해보았다면’ 등의 가정을 하면서 끊임없이 상상하고 자책하게 된다.
펫로스감정을 다스리는 방법
충분한 애도의 시간 가지기
성인의 경우 우는 것에 대해서 부끄러워 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났다는 것에 대해 이정도로 슬퍼하는 것을 이상하게 보지는 않을까?’라는 생각을 하면서 혼자 끙끙 앓게 될 수 있다.
전혀 그럴 필요가 없다. 반려동물은 나와 함께 삶을 공유했던 사랑하는 존재였다. 슬픔, 분노, 죄책감 등을 느끼는 나의 모습을 부정하려고 하지 말자.
나를 사랑하는 가족, 친구들의 경우 반려동물이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 누구보다 잘 알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나의 감정을 이야기하고, 공유하면서 충분한 애도의 시간을 가지자.
다른 사람과 슬픔 나누기
반려동물을 떠나 보낸 슬픔, 혼자만의 힘으로 해결이 되지 않는다면 펫로스를 겪은 사람들과의 모임을 해보는 것도 좋다.
같은 슬픔을 가진 사람들끼리 대화하며 서로 공감, 위로를 하면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최근 반려동물을 키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서초구와 강남구에서는펫로스 증후군 치유를 위한 프로그램을 진행하기도 했다.
오프라인 모임이 어렵다면, 온라인 반려동물 커뮤니티를 이용해보는 것도 방법이다. 반려인이 모여있는 만큼 깊은 공감과 위로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펫로스를 이해하지 못 하는 사람을 당분간 피하자
내가 힘든 시간을 보내는 것을 보고, ‘무슨 동물때문에 계속 울고 있니? 그만 좀 해’, ‘최소한 동물이었잖아
아이를 잃은 사람도 많아’ 등의 상처가 되는 말을 하는 사람이 주변에 있다면 당분간 소통을 최소화 하자.
상대방의 경우 나를 위로하려고 던지는 말이지만 ‘반려동물의 의미’에 대한 이해를 하지 못 하는 경우 펫로스로 겪는 감정을 의미없는 것으로 규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경우, 나에게 큰 상처가 되고, ‘내가 이상한가?’라는 생각으로 자존감이 떨어지며 우울감이 심화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