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양치 주기 하루에 몇 번 해야 할까?
강아지양치 주기 하루에 몇 번 해야 할까?
일반적으로 사람은 하루에 3번 이상 양치를 하는 게 좋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강아지 양치 주기는 어떻게 될까요
사람에 비해 충치가 잘 안 생긴다고는 하나, 강아지도 주기에 맞춰 양치하는 게 좋습니다
오늘은 적절한 강아지 양치 주기와 꾸준한 양치의 중요성, 강아지 양치 때 좋은 칫솔과 치약을 알아보아요
적절한 강아지 양치 주기
첫 양치는 최대한 빠르게
강아지 양치의 시작은 빠르면 빠를수록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강아지 생후 10주면 유치가 다 자라게 되고, 4개월 전후로 이갈이를 하게 되는데요
이가 난 시점마다 조금씩 양치질에 적응시켜주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 양치를 빨리 시작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크고나면 적응시키기가 어렵기 때문이에요
강아지는 어릴수록 새로운 습관이나 행동을 쉽게 받아들이기에, 스트레스가 되지 않는 선에서 양치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강아지 양치 주기, 최소 하루에 한 번
강아지 양치는 최소 하루에 한 번씩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강아지의 경우, 치아에 치석이 쌓이는 속도나 양이 사람보다 더 빠르고 많기 때문인데요
이런 치석이 쌓이지 않도록 양치를 주기적으로 해줘야 하며, 가능하다면 하루에 아침과 저녁에 총 2번 양치질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한 번에 하기 어렵다면 나눠서
간혹 어려서부터 양치를 했다 하더라도 여전히 양치를 싫어하는 강아지들이 있을 수 있어요
이럴 때는 양치를 짧게 나눠서 하는 게 나을 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오전에 윗니만 먼저 양치하고, 오후에는 아랫니만 양치하는 등 하루에 두 번 나눠서 하는 것도 가능해요
강아지 양치 주기 소홀히 한다면?
강아지에게 충치가 잘 생기지 않는 이유는 침의 성분, 치아 구조가 사람과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렇다고 강아지가 양치를 할 필요가 없다는 것은 절대 아닙니다
양치를 꾸준히 하지 않으면 강아지에게 다음과 같은 문제들이 생길 수 있어요
치석으로 인한 잇몸 질환
강아지 치아에 치석이 쌓이는 것을 방치하면 여러 잇몸 질환이 발생하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치은염과 치주염이 있는데요
증상이 심해지면 잇몸에 피가 나고, 치아의 뿌리가 녹으며 심한 경우 치아를 발치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강아지의 평균 수명은 15년이고, 생후 8개월이면 모든 이를 갈게 돼요
만약 잇몸 질환 때문에 치아를 발치하면, 강아지가 여생 동안 치아 없이 지내야 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입냄새 악화
강아지 입냄새에는 여러 원인이 있지만, 그중에도 양치를 제대로 하지 않으면 나는 경우가 많아요
입냄새는 잇몸 질환의 증상 중 하나이기도 하여 단순히 미관상의 문제로 그치지 않습니다
이는 오로지 보호자의 관리로만 해결할 수 있기에 반드시 꾸준한 양치질이 필요해요
강아지 양치 적응 방법 4단계
입 주변 만지기
양치를 처음 경험하는 강아지라면 보호자가 입을 만지려는 것 자체에 거부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자칫하면 강아지가 물 수도 있는데요
위험하지 않다고 느끼도록 천천히 입, 잇몸 등을 만져보며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양치할 때도 마찬가지지만 강아지를 못 움직이게 안거나 붙잡는 것은 좋지 않아요
강아지에게 부정적인 경험으로 남아 양치하기가 더욱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치약 경험하게 하기
강아지가 치약에도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강아지 치약은 무향부터 닭고기, 땅콩버터, 꿀 향 등 다양하게 있는데요
치약에 거부감을 느낀다면 기호성 좋은 향이 있는 치약을 고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치아 만져보기
처음부터 반드시 칫솔로 양치를 할 필요는 없어요
강아지에게 익숙해진 손가락이나, 칫솔보다 더 부드러운 거즈로 시작해도 된답니다
손가락이나 거즈에 치약을 묻힌 뒤, 강아지 치아에 대고 살살 문지르며 가볍게 양치를 시작해볼 수 있습니다